애니메이션의 사전적 의미는
그림이나 인형 등 실제로 움직이지 않는 대상을 조금씩 그 자세나 위치를 바꾸면서 한 장면씩 촬영하여 영사상의 동작을 나타내는 방법으로 제작한 영화.라고 나오네요....
예전에 애니메이션을 조금 했던 기억이 있는데......
어떤 사물에 생명을 부여하여 움직임을 통해 표현을 하는 영화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기존에 출판만화는 컷동작을 통해 전달을 한다면....
애니메이션은 실제 움직임을 통해 전달하는 표현인 것같아요....
인형애니메이션에 대한 자료가 있어서 올려봅니다....참고...
입체 인형의 동작에 조금씩 변화를 주어 한 프레임씩 분리 촬영하는 제작방식을 통칭하는 스톱 모션 (stop motion) 기법의 애니메이션이다.
인형 애니메이션에서는 가장 중요한 것이 인형과 세트의 제작인데, 인형의 소재에 따라서 다양한 세부 장르를 형성한다. 소재는 나무, 찰흙, 플라스틱, 화학재료, 솜, 천, 유리 등 다양하다. 인형이 제작되면 인형에 동작을 주면서, 그 동작을 단계적으로 고정시킨 순간순간을 연속 촬영한다.
셀 애니메이션은 종이 위에 그림을 그린 2차원의 소재로 촬영하지만, 인형 애니메이션은 3차원 소재인 인형을 촬영하기 때문에 촬영이 가장 중요하다. 인형은 손, 발, 목 등을 움직일 수 있게 만들고, 움직임의 방향이나 속도 등은 콘티에 표시한다. 촬영에서 인형의 동작이 순서대로 되지 않거나 동작 폭이 지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그 앵글은 지속성을 유지하지 못한다. 인형 애니메이션은 셀 애니메이션에 비해 입체감을 표현하는 데 뛰어난 리얼리티를 보장받을 수 있으나, 속도감이나 유머의 은유가 어렵고, 제작기간이 길어 상업 애니메이션으로는 사용되지 않았는데 최근 CF 애니메이션에는 많은 인형 애니메이션들이 선보이고 있다. 또한 인형 애니메이션은 제작과정상 원칙적으로 분업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2∼5명 사이의 소집단이 작업을 추진하기에 적당한 제작방식이다.
인형 애니메이션 제작방식의 기초를 확립하고 확대시킨 작가는 이지 트릉카 (Jiri Trnka)이다. 이지 트릉카의 조국인 체코는 본래 300여 년의 인형극 역사를 가지고 있는 국가인데, 바로 이러한 인형극의 전통이 인형 애니메이션이라는 독특한 미학을 완성케 한 것이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풍부하게 관찰되는 인형극 문화는 주로 유럽의 몇몇 지역을 중심으로 다양한 형식과 풍부한 전통을 유지해왔다. 러시아와 헝가리를 비롯한 동부유럽에서 발달한 인형극 전통은 오늘날까지도 차별화된 인형극 문화로 존재하고 있으며, 수십 개의 인형극 극단을 유지시켜 오고 있다.
셀 애니메이션의 2차원적 평면성을 극복한 인형 애니메이션은 인형극 전통에 그 기반을 형성하고 있는데, 인형극은 이미 그 자체로서 완성된 체계를 갖춘 역사적 산물이며, 인형영화는 그저 인형이라는 조형적 조건에서만 공통될 뿐 전자와 상관없이 자체 내의 독자적인 언어체계와 문법 위에서 구축되는 시공간적 구조물이다. 인형 애니메이션은 유럽의 라디슬라스 스타레비치와 조지 팔, 알렉산더 프투쉬코 등 뛰어난 작가들이 앞세대를 형성하고, 독보적인 장르로서 특화시킨 이지 트릉카를 기점으로 체코의 카렐 제만, 일본의 카와모토 키하치로와 NFBC의 코 회드만, 그리고 최근의 윌 빈튼과 아드만 스튜디오의 닉 파크에 이르기까지 이들이 뒷세대를 이루면서 작가정신이 내장된 대가들이 춘추전국시대를 이룬다.
인형 애니메이션이라고 하면 다양한 장르를 포괄하거나 여타의 장르와 중복된 지대를 형성한다. 본래 인형 애니메이션은 한 프레임씩 동작을 설정하여 촬영하기 때문에 스톱모션 기법이면서도 실제 인형으로 형상화된 사물에 움직임을 부여한다는 측면에서는 오브젝트 애니메이션으로도 볼 수 있다. 또한 종이인형 애니메이션 측면에서 볼 때는 컷아웃 애니메이션으로서의 절지 개념도 분석될 수 있기 때문에 엄밀하게 인형 애니메이션이라고 정의한다면 사실 여러 가지 논리적 오류가 발생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체로 인형 애니메이션이라고 하면 퍼핏 애니메이션을 말하며, 그 중 특수한 진흙을 이용하여 인형을 제작하면 클레이메이션, 종이를 이용하면 종이인형 애니메이션이라고 부른다. 결국 이러한 분류는 촬영 방식에 의한 분류가 아닌 촬영 소재에 의한 단선적 분류임을 밝혀 둔다. 여기에서는 이지 트릉카와 카와모토 키하치로, 카렐 제만 등을 중심으로 한 퍼핏 애니메이션, 윌 빈튼과 아드만 스튜디오를 중심으로 한 클레이메이션, 그리고 코 회드만 등이 보여주는 종이 인형 애니메이션 등을 살펴본다.
'■애니의 이론■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니메이션에 대하여(5)-(김원진) (0) | 2019.12.20 |
---|---|
애니메이션에 대하여(4)-(김대영) (0) | 2019.12.20 |
애니메이션에 대하여(2)-(문진영) (0) | 2019.12.20 |
애니메이션에 대하여(1)-(지태호) (0) | 2019.12.20 |
스토리보드에 대하여(2)-(문진영) (0) | 2019.12.20 |